언론기사

[칼럼] 개발도상국 발전의 기본은 ‘디지털 지도’다

아시아투데이 2016년 1월 28일자 기사입니다. 이인근 (LH 토지주택연구원 원장) 작년 초부터 인도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각국에 스마트시티 100개 건설 사업에 참여를 요청하고 있다. 2022년까지 총 사업비 150억 달러에 달하는 이 사업에서 인도 정부는 짧은 시간 내에 개발용 디지털 지도를 작성하고 그것을 활용해 스마트 시티를 계획, 설계, 건설, 운영하는 것을 매우 중요하게 꼽는다. 이런 전개 방향은 향후 인도 뿐 아니라 다른 여러 개발도상국의 개발협력에도 유사하게 반복될 것으로 보인다. 최근 각광받는 디지털 맵핑기술은 항공기, 인공위성, 그리고 드론 등을 활용해 촬영한 사진을 처리해 3차원 지도로 만들어낸다. 광범위한 영역을 측정하고 신속하게 처리함으로써 거의 실시간의 자료수집도 가능하다. 다수의 개발도상국의 경우 치안이 확보되지 않은 지역이나 대규모 미개발지가 많고, 역동적으로 변화한다는 점에서 적용가능성이 크다. 오픈소스GIS를 활용한 맞춤형 디지털 지도도 눈여겨볼만 하다. 인터넷 등에 무료로 공개된 디지털 지도 관련 프로그램을 응용해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고가 상업용 프로그램의 설치와 유지보수, 기술종속 등에 느끼는 개도국의 부담을 덜어주기 때문에 향후 UN기구 및 개도국 정부의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작년 서울에서 개최된 스마트국토엑스포 특별 세미나를 통해 오픈소스GIS의 활용성을 논의해보기도 하였다. 디지털 지도는 단순히 종이 지도를 컴퓨터로 옮겨놓은 것이 아니다. 도시가 어떻게 변해가는지를 측정해 지속적으로 지도를 수정하는 것은 기본이다. 사람들은 어디서 어떻게 행동하는지, 물품은 어떻게 운반되고 있는지를 측정해 시설을 운영·관리하고 최적화한다. 개도국들이 우리나라에 도움을 요청하고 있는 이유도 동탄신도시, 세종특별자치시 등에서 스마트 도시 관리 시스템을 구축해온 노하우를 인정하기 때문이다. 올해부터 UN의 개발협력 아젠다가 ‘지속가능한 발전목표’로 바뀌면서 디지털 지도의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UN 국제원조의 근간이 되는 이 아젠다는 개도국의 넓은 지역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 우리 연구원은 지난 1년간 새 아젠다를 살펴보면서, 최근 건설한 신도시 평가를 시도하였고, 디지털 지도의 활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도국 디지털 지도 시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활동 경험을 갖고 있는 공기업과 신기술 도입이 빠른 민간의 공조가 중요하다. 공기업은 되도록 우리 민간 기업이 국내외 시장에서 신기술 경험을 쌓을 기회를 주는 한편, 해외 진출시 차별화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공급받을 수 있다. 민간 역시 개도국 진출 과정에서 공기업이 도움이 될 수 있는 점을 찾아서 지속적으로 요청하는 것이 좋은 전략이 될 것이다. 우리나라 국토개발에 풍부한 경험을 가지고 있는 LH(한국토지주택공사)는 지난 11월 인도 나비뭄바이 스마트시티에 참여하기로 MOU를 체결하고, 올해 동반진출을 원하는 민간기업과의 협의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인도를 포함한 개도국 시장 진출의 큰 발판이 될 것이다. 디지털 지도에 관해 높은 기술력을 갖춘 우리 기업들이 함께 참여해서 경쟁력 있는 상품을 갖춰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