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배경] - 인구, 가구에 대한 분석과 예측은 지역·도시계획에서부터 단위개발사업, 건축까지 공간계획 을 위한 필수 요소이며 인구정체기에는 인구성장 보다는 인구이동이 더 중요한 상황 - 공간계획에서의 인구 미스매치를 발생시킬 수 있는 과거의 분석 방식을 극복하고, 도시공간 구조계획, 도시개발사업, 주택사업 등 타당성 분석의 적실성을 높이기 위해 인구이동의 현황 과 예측에 관한 심화된 연구 필요
[연구결과 및 시사점] - 해당 연구는 공간적 위계에 따라 인구이동이 어떠한 큰 흐름을 보이는지, 어떠한 세 부 지역들이 인구이동의 흐름에서 중심성이 나타나는지, 이주자 특성에 따라서는 어떻게 달리 나타나는지를 기초적 분석을 통해 다각적으로 검토 - 또한, 주거선택모형을 이용하여 인구이동 패턴과 연관된 부문별 변수들의 영향력의 상대적인 크기와 시점에 따른 변화를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