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번 | 연구과제명 | 발행년도 | 요약 | 원문 | |||||
---|---|---|---|---|---|---|---|---|---|
16 | LH 건설사업 혁신을 위한 디지털 전환 전략 수립 | 2025 | 요약보기 | 원문받기 | |||||
요약보기
【연구배경및목적】- 건설산업에서 기능 인력 부족 대응, 품질·안전확보, 생산성향상, 국제 경쟁력 제고 등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업계 내 스마트 건설 기술 적용이 확산되고 있음 - LH 건설사업에 대해 “디지털전환추진전략”을 마련하고, 전사적 지원과 참여를 통해 점진적 공공부문 스마트 건설 실현 및 디지털 생태계 선도 【연구내용】 - (현황검토) 국내 외 디지털 전환 현황 검토 및 LH 디지털 전환 정의 - (요구분석) 주택사업 디지털 전환 요구사항 분석 및 기술 적용성 평가 - (전략수립) 중장기 주택 건설 사업 디지털 전환 추진 로드맵 작성 【연구결과】 - LH 디지털 전환 프레임 워크를 정립하고, 스마트 건설 기술의 주택사업 적용성 평가를 통해 요소기술별 적용 방안 마련 - LH 주택 건설사업 디지털 전환 추진을 위한 로드맵과 실행 계획 수립 |
|||||||||
15 | 주택건설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주택사업 인증제도 개선 방안 연구 | 2022 | 요약보기 | 원문받기 | |||||
요약보기
◦ [연구 배경 및 목적] - (배경) 정부에서는 쾌적하고 안전한 주거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주택사 업 추진 시 분야별로 다양한 인증제도를 운영 중이나, 유사한 다수의 인증제도가 개별 법규 및 제도에 따라 수행되고 있어 인증 관련 중복 업무 발생에 따른 행정업무 과다, 건설원가 상승, 처리기간 부족 등 주택건설사업의 경쟁력 약화 초래 - (목적) 주거복지 로드맵 목표달성 등 원활한 주택사업 추진을 위해, 공사의 주택사업과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주택사업 인증제도들의 합리 적 운영방안 및 제도개선 방안을 제시 ◦ [주요 내용] ① 국내외 주택사업 관련 인증제도 운영현황 고찰 ② 국내 주택사업 인증제도 유사·중복 항목 분석 ③ 인증업무 프로세스 관련 개선점 도출 ④ 주택사업 인증제도 개선(안) 제시 ◦ [기대성과 및 활용방안] - 주택사업 인증제도 개선(안)을 제시하고, 국토부 등 정부 제도개선 건 의 시 기초자료로서 활용 - 주택사업 업무 간소화 및 건축행정 규제 개선을 통해 원활한 주택공 급 추진 등 주택건설사업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
|
|||||||||
14 | 건설사업비 절감을 위한 LH형 하이브리드 건설시스템 개발 | 2013 | 원문받기 | ||||||
요약보기
|
|||||||||
13 | 건설사업 입찰 평가 및 심사 제도 선진화 방안 | 2011 | 원문받기 | ||||||
요약보기
|
|||||||||
12 | 해외신도시 건설사업관리 표준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2010 | 원문받기 | ||||||
요약보기
|
|||||||||
11 | 건설사업비 저감형 요소기술 및 건설관리기술 개발 | 2010 | |||||||
요약보기
|
|||||||||
10 | 국외 출장 결과보고서: 저비용 주택 기술 개발 (건설사업비 저감형 요소기술 및 건설관리기술 개발) | 2009 | |||||||
요약보기
|
|||||||||
9 | 국민임대주택건설사업 갈등관리 방안 연구 | 2007 | |||||||
요약보기
|
|||||||||
8 | 공동주택 건설사업 발주 및 사업관리방식별 특성 분석 | 2005 | |||||||
요약보기
|
|||||||||
7 | 해외출장보고서: 공동주택 건설사업 발주 및 사업관리방식별 특성분석 | 2004 | |||||||
요약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