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번 | 연구과제명 | 발행년도 | 요약 | 원문 | |||||
---|---|---|---|---|---|---|---|---|---|
1 | 1기 신도시의 계획적 재생방안 연구 | 2013 | 요약보기 | 원문받기 | |||||
요약보기
1.1 연구의 목적 1980년대 500만호 주택건설정책과 함께 일시에 대규모로 조성된 수도권 1기 신도시는 완공 이후 20여년이 경과하면서 노후화 되어 가고 있다. 향후 1기 신도시의 재생은 비슷한 시기에 동시다발적으로 도래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이에 따른 부동산 시장의 혼란이 초래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견되므로 이 에 대한 선제적이고 계획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도권 1기 신도시의 계획적 재생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현재 일부 노후화가 진행된 단지를 중심으로 한 부분적 리모델링 수 준의 미시적이고 국지적 차원의 재생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향후 도 시의 종합적 관리 차원에서 도시의 재생방안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통해 LH의 바람직한 공적 역할 수행과 더불어 새로운 역할을 모색하는데 기 여할 수 있을 것이다. 1.2 연구의 범위와 내용 1990년대 중반에 도시개발이 완료되어 현재 20여년이 경과하여 고층고밀 주 거지를 중심으로 노후화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한 1기 신도시를 대상으로 분 석하였다. 시간적 범위로는 현황분석 및 문제점 고찰은 1990년부터 현재까지 이며 연구의 목표연도는 도시 조성 후 40여 년이 경과하는 2030년을 목표로 설정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2장에서 도시재생의 필요성과 미래 신도시에 대한 기능과 역할을 2 l 1기 신도시의 계획적 재생방안 연구 고찰하였다. 3장에서는 1기 신도시의 현황조사 및 특성을 분석하여 도시재생 의 수준과 여건 고찰을 바탕으로 변화 과정을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5개 신 도시 거주민 600명, 전문가 100명을 대상으로 신도시 재생과 관련한 사회적 변화와 방향, 신도시의 기능과 역할 변화 등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5장 에서는 향후 1기 신도시의 재생 목표와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6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종합정리하고, LH가 향후 도시재생부문에서 해야 할 역할에 대해 모 색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