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번 | 연구과제명 | 발행년도 | 요약 | 원문 | |||||
---|---|---|---|---|---|---|---|---|---|
4 | 공동주택 실내 마감재의 방사성물질 방출 저감성능 조사 및 비교평가 | 2025 | 요약보기 | 원문받기 | |||||
요약보기
[연구 추진배경 및 목표]- 안전한 실내 라돈환경 조성을 위해 현재 적용중인 다양한 실내 마감재의 방사성물질 저감 성능을 평가하고, 신축 및 기축 공동주택에서의 실내 라돈 농도 관리와 라돈 저감을 위한 마감재 적용 방안을 제안하고자 함 [연구 결과] - LH 표준상세도, 공동주택 주력평면 인테리어 매뉴얼 등을 참고하여 18종의 실내마감재에 대한 적용 전후에 따른 표준 라돈방출량 저감률을 비교 - 벽체 마감재의 경우, MDF+인테리어 필름, 세라믹 타일(87%) > 포세린 타일, 보온판+실크벽지(85%) > 벽지(78%) > 콤비보드(75%) 순으로 나타났으며, 바닥재의 경우 룸카펫과 강화마루(접착시공시)가 85~87%수준으로 유사 - 현실적으로 실크벽지를 아트월로 대체시 26Type에서 실내 라돈량 약 18%저감을 확인하였으나, 실제 공정시험법에 의한 실제 라돈농도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
3 | 공동주택 방사성물질 저감을 위한 필름형 재료 적용방안 평가 | 2024 | 요약보기 | 원문받기 | |||||
요약보기
[연구 추진배경]- ZEB추진에 따른 공동주택 기밀성능 강화, 코로나 유행 이후 재실시간 증가로 실내공기오염물질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1급 발암물질로 규정된 라돈으로부터 안전한 실내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필름형 재료를 이용한 라돈 저감방안 마련 필요 [연구 결과] - 소형공동주택에서 필름형 재료(PE)적용 결과 표면 라돈방출량은 약 85% 저감되었으며 실내 전체 표면적 대비 25%인 내력벽에 시공한 경우 실내공기 라돈농도는 25~27%정도 저감되는 것으로 나타남 - 기준치 초과한 기축 세대 중 200 Bq/㎥ 이내로 초과한 세대에 대응방안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
|||||||||
2 | 방사성물질 저감 도료의 성능평가 연구 | 2023 | 요약보기 | 원문받기 | |||||
요약보기
【연구 배경 및 목적】
|
|||||||||
1 | 방사성 물질 방출 저감자재 적용 방안 연구 | 2022 | 요약보기 | 원문받기 | |||||
요약보기
□ 연구목표 · 실내 라돈 농도 관리를 위한 방사성 물질(라돈) 방출을 저감할 수 있는 기능 성 저감자재의 성능평가 및 적용방안 제시 · 라돈 저감자재(차폐재, 도막재, 흡착재 등)의 적용방안에 대하여 검토하여 실 내 라돈방출량 저감을 위한 사후 저감방안으로 활용할 계획 □ 주요내용 · 국내·외 라돈저감 건축자재 현황 및 실태 조사 · 라돈 저감자재 성능평가를 위한 리스트 도출 · 저감자재의 챔버실험을 통한 저감성능 평가 · 저감자재의 목업실험을 통한 저감성능 평가 · 기능성 저감자재의 시공성 등 평가 · 라돈 저감자재 적용기준 마련 □ 연구결과 · 기존 공동주택 적용 등 건축자재 사후 관리 목적을 위해 실내에 직접 적용이 가능한 라돈 차단 도료제(15종)를 대상으로 라돈 저감 성능 평가를 수행 · 밀폐형 챔버와 RAD7을 활용하여 라돈 저감 도료 적용 전/후의 챔버 내 라돈 농도 측정 및 각 도료별 라돈 저감 효과를 정량적으로 비교, 분석 · 라돈 저감 도료(15종)을 총 45개 시편에 적용, 이 중 25개 시편에서 약 2 ~ 77 %까지 라돈 저감 효과 확인 · 라돈 저감 도료 전/후의 농도 비율을 비교한 결과, 총 7종의 라돈 저감 도료 에서 약 12 ~ 58 %의 표면 라돈 방출 효과 확인 □ 기대효과 · 실내 라돈 저감을 위한 기능성자재의 적용기준 마련 · 실내 라돈 방출량 저감을 통한 민원 대응 |